피터 S.초우(Peter S. Chow) Texas Instruments |
세계적 광대역 성장 지난 3~5년 사이 광대역은 주요 부분에 확산되면서 전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왔다. 한국은 2002년 말 광대역 가입자 수가 800만 명을 넘어서며 초기부터 광대역 성장을 주도했으며 그 뒤를 이어 일본이 2003년말 광대역 가입자 수 1000만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중국은 China Telecom과 China Netcom 의 가입자가 1700만명에 육박하면서 총가입자 규모 면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 광대역 국가로 부상했다. 2004년 말 전세계적인 광대역 사용자 수는 1억 5000만 명에 이른다(그림 1 참조). 이와 같은 추세는 전세계적으로 계속 이어져 2008년 말이 되기 전까지 두배 이상 성장해 광대역 사용자가 3억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성장을 지역적으로 분석해 보면, 비디오, 인터넷 전화와 같은 보다 빠른 ARPU 서비스가 가입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면서 전문가들은 유럽, 북미, 중국에서는 강력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게다가, 아직 대부분의 전망에서는 반영되고 있지는 않지만 인도를 비롯해 인구 밀도가 높은 개발도상국의 경우 개발되지 않은 막대한 잠재력이 존재한다. 고속 인터넷 액세스가 지금까지 광대역 성장을 주도한 동인이었다면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P),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온라인 게임, 화상회의 등 새로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등장은 보다 빠른 전송 방식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높은 대역폭의 새로운 DSL 기술인 VDSL2와 UDSL(Uni-DSL)을 설명하고, 이 기술이 갖는 장점을 FTTN(fiber-to-the-node) 네트워크 구조와 연계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초고속 DSL 기술은 통신 사업자의 기존 DSL 기술과도 호환되므로, 서비스 사업자는 기존 데이터 및 비디오 서비스 수익에 경쟁력 높은 비디오 서비스 수익을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송 구조 현재 대부분의 고속 전송 구조는 광케이블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 광섬유를 가정이나 가입자 구내까지 포설하는 극단적인 경우가 바로 FTTH(Fiber-To-The-Home)이다. 이 경우(그림 3 참조), 광섬유는 언제나 옥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NID: Network Interface Device) 또는 광 망 종단장치(ONU: Optical Network Unit)에서 수동형 광가입자망(PON: Passive Optical Network) 종단에 의해 종단되며, 신호는 다시 내부 분배를 위해 전기적으로 변환되어 PC, 셋톱박스나 기타 구내 장치로 보내진다.
이와 같은 유형의 구조는 전형적으로 40Mbps 이상을 무난하게 제공하며 100Mbps 이상까지 전송할 수 있는 매우 빠른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장비 가격과 설치에서 모두 구축 비용이 높다는 단점을 갖는다. 대규모 FTTH 추진 계획을 발표하는 일부 사업자도 있지만, 사업자 대부분은 첨단 네트워크가 가능한 그린필드 구축에 대해서만 FTTH 전략을 선호한다. 일반적인 사업자들은 현재 고객에게 기존의 구리선을 이용한 라스트마일(last mile) 전송기반을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림 4는 두 가지 전형적인 DSL 기반 전송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준다. 오늘날의 일반적인 ADSL 설치 방식에서 보듯이 중앙기지국(CO: Central Office)에서 직접 설치할 경우 전송 가능한 데이터 속도는 일반적으로 구리 전선으로 구성된 꼬임 쌍선의 루프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구조의 장점은 기존 구리선 전송기반을 완벽히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며, 따라서 최소의 업프론트 장비와 설치 비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향상된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보다 많은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CO에서부터 해당 지역의 크로스 커넥트 박스 또는 노드까지는 광섬유를 설치한 다음, 크로스 커넥트 노드에서부터 각 고객까지는 기존의 구리 쌍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FTTN 구조는 DSL 송수신기용 구리 쌍선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킨다. 그에 따라, 크로스 커넥트 노드와 다수의 가입자 간 (point-to-point) 연결에서 20Mbps 이상의 하향 전송속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VDSL1/2 및 UDSL 개요 VDSL 및 UDSL은 FTTN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더 짧은 루프 길이와 그에 따라 더 증대된 가용 대역폭을 이용하는 DSL 기술이다. VDSL1 표준은 최대 12MHz까지 스펙트럼 용도를 정의하는 밴드 플랜(band plan)을 사용하며, VDSL2 표준은 최대 30MHz까지 밴드 플랜과 스펙트럼 용도를 정의할 수 있다(그림 5 참조). 이와 같이 늘어난 대역폭으로 VDSL2는 이론적으로 더 짧은 루프에서 200Mbps 이상의 통합 속도(하향 및 상향 속도를 합한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VDSL2는 UDSL의 기초가 되는 표준이다. 따라서, UDSL은 최소한 이와 같은 최대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상향 및 하향 사이에서 완벽하게 유연한 구성이 가능하다. VDSL2 표준화 작업은 아직 진행 중이며 2005년 후반기에나 완료될 예정이지만, 더욱 대역폭이 증대된 밴드 플랜을 비롯해 더 높은 전송 능력, 트렐리스 부호화(trellis coding), 보다 광범위한 회선 진단, 향상된 임펄스 잡음 보호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VDSL2는 VDSL1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6에서 보듯이 VDSL2(UDSL 포함)는 최대 5kft ~ 6kft의 루프에서 가장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북미 지역은 크로스 커넥트에서의 루프 길이가 대부분 이 범위보다 작다. VDSL2의 경우 VDSL2 밴드 플랜의 첫 번째 상향 밴드에서 추가될 유연성을 고려한다면 3kft ~ 6kft 범위의 루프에서는 더 대칭적인 데이터 속도를 얻을 가능성이 크다. 그림 5 : DSL 밴드 플랜 그림 6: xDSL 성능 비교 UDSL의 장점 VDSL2의 우수한 특성을 모아놓은 UDSL은 범용 서비스, 초고속, 그리고 향상된 성능과 프로비저닝(provisioning), 관리를 위한 특수 기능 등 세 가지 특징적인 측면을 갖는다. 범용 서비스는 UDSL에서 주요 DMT(Discrete Multi-Tone) 표준을 단일칩으로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지원되는 표준에는 ADSL, ADSL2, ADSL2+, VDSL1, VDSL2가 포함된다. 이러한 범용 서비스는 크로스 커넥트 박스에서 프리 프로비저닝(pre-provisioning)을 가능하게 하고, 기존 ADSL2 및 ADSL2+ 고객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된 고객들은 추후에 소프트웨어 구성을 통해 VDSL2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CPE 측면에서 범용 서비스를 본다면, 통신 사업자는 단일 CPE만 제공하면 되므로, 재고, 분배 및 운영비용의 관리가 용이해지고, 보다 높은 서비스 수준에서 시범 기간을 마케팅할 수 있으며, BOD(Bandwidth On Demand) 및 궁극적인 서비스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결합과 관련해 볼 때, ADSL2+ 시스템의 경우 루프 길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속도는 30% ~ 100%의 향상을 보여주고, 전송거리는 20% ~ 30% 이득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합과 벡터링을 VDSL2에 적용할 경우에도 유사한 성능 향상을 볼 수 있다. 그림 8은 크로스 커넥트 캐비넷으로부터 단일 쌍(single pair) VDSL2 시스템의 성능 곡선을 -130dBm/Hz의 높은 수준의 배경 잡음과 다른 VDSL2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중간 수준의 원단누화 잡음이 존재하는 전송 환경에서 2쌍(two pair) 결합 VDSL2 시스템과 2쌍 벡터링 적용 VDSL2 시스템과 비교한 것이다. 고정 80Mbps 통합 데이터 속도 서비스의 경우, 2쌍 벡터링 적용 VDSL2 시스템은 이와 같은 높은 잡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500ft에서부터 3000ft 이상 전송거리를 연장할 수 있으며, 이는 단일 쌍 VDSL2 시스템보다 더 우수하다. 벡터링 이득은 누화는 높지만 배경 잡음이 낮은(가령 배경 잡음 수준이 -140dBm/Hz) 환경에서 더 큰 폭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림 8: 높은 AWGN 잡음(26AWG, 4 VDSL FEXT, -130dBm/Hz AWGN)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결합과 벡터링을 적용한 통합(하향 + 상향) VDSL2 성능 요약 |
'[IT Trend]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치기반 이동Ad-hoc네트워크 기술 동향 (0) | 2006.07.21 |
---|---|
[스토리지 네트워크 1]스토리지 네트워크의 이해 (0) | 2006.07.19 |
RRDNS(Round-Robin DNS) (0) | 2006.06.28 |
[한국의 IX] ① ISP는 알지만 IX는 모른다 (0) | 2006.06.20 |
국내 NAS 시장 현황 (0) | 2006.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