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Trend] 342

日소프트뱅크, 보다폰 재팬 인수 공식 발표 [spot뉴스 ..

일본 소프트뱅크는 휴대전화 업체인 보다폰 일본법인을 인수키로 했다고 17일 공식 발표했다. 인수금액은 1조7천500억엔으로 일본기업의 기업인수 사상 최대다. 소프트뱅크는 애초 내년 4월 독자적으로 휴대전화사업을 시작할 계획이었으나 통신기기조달 등 인프라 조기정비가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전국적인 통신망을 갖춘 보다폰 인수를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다폰 일본법인은 NTT도코모, KDDI에 이어 일본 3위의 휴대전화업체다. 손정의 사장은 기자회견에서 "휴대전화사업을 제로상태에서 시작하는 것보다 큰 기반위에서 시작할 수 있게 됐다"고 인수의의를 설명했다. 소프트뱅크는 신규 진출을 전제로 작년 11월 휴대전화 주파수를 할당받았다. 소프트뱅크는 보다폰 인수로 2개의 주파수를 갖게 됐으나 일각에서 "새로 받은 주..

[IT Trend] 2006.03.20

정통부, '와이브로, W-CDMA, VoIP' 활성화 방안 발표

정통부, '와이브로, W-CDMA, VoIP' 활성화 방안 발표함정선기자 mint@inews24.com 2006년 03월 15일 정통부, 상호접속요율 산정안 3분기 확정정통부, 통신정책 규제틀 개편 추진정통부, 올해 IT신성장동력 육성에 7천343억원정통부는 15일 코스모타워 코스모아트홀에서 열린 정보통신 주요정책 설명회를 통해 '와이브로, W-CDMA, 인터넷전화(VoIP)'를 올해 통신시장의 성장동력이 되는 신규통신서비스라 정하고 각 서비스의 상용화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통부는 와이브로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특화 이용요금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다양한 단말기의 개발과 출시를 유도할 계획이다. 와이브로의 해외진출을 위해 정통부는 오는 4월 와이브로 해외로드쇼 및 국제포럼을 개최 등을 ..

[IT Trend]/VoIP 2006.03.16

IP PBX 기반 VoIP-6.VoIP 향후 전망

자료 출처 : http://www.datanet.co.krTech Guide - IP PBX 기반 VoIP-6. VoIP 향후 전망등록일 : 2006.03.15출처: NETWORK TIMES 2006년 03월호다양한 문제점 불구 VoIP 기반 BcN 상용화 ‘눈앞’ 통신사업자·장비업체·연구기관 활성화 도모 … 보안·QoS·확장성 등 대응책 마련 시급 이종석/케이티인포텍 신사업기획단 상무/jslee@kti.co.kr 6. VoIP 향후 전망 (이번호) 현재 우리나라의 네트워크는 광대역통합망(BcN)과 3.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세계 정보통신 환경을 선도하고 있다. 이렇듯 차세대 네트워크의 특징은 모든 시스템이 IP를 기반으로 하는 올(All) IP 환경으로 진화하는 것이며, 실시간 통신방식의 가장..

[IT Trend]/VoIP 2006.03.15

비디오 블로그, TV의 종말을 불러올까?

정보 출처 : http://www.nytimes.com/2006/03/11/technology/11online.ready.html디지털 카메라와 개인용 캠코더의 확산은 일기를 적고 의견을 교환하는 기존의 단순한 텍스트 블로그 개념을 한 단계 진일보시켰다. 이제 사람들은 금방 찍은 사진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서 실시간으로 다른 네티즌들과 소통하며, 평범한 무명 블로거가 올린 신기한 동영상이 주류 매체에 뒤늦게 기사화되는 일은 흔한 일이 되었다. 현대인의 필수품인 휴대 전화기에 점점 더 성능이 좋은 카메라가 장착되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비디오 블로그(Video bLOG)는 브이로그(vlog)나 보그(vog), 비드블로그, 무비블로그로도 불리는데, 내려받거나 바로 휴대용 기기로 옮길 수 있는 비디오 클립을..

[IT Trend] 2006.03.14

[여기는 세빗] VIP 대접받는 ‘VoIP’

[여기는 세빗] VIP 대접받는 ‘VoIP’디지털타임스 2006.03.13 전문가 포럼… 특집기사 등 인기 반영 유선전화(PSTN)를 대체할 기술로 꼽히는 VoIP가 올해 세빗에서 집중 조명을 받았다. 올 세빗에서는 대회기간 내내 각국의 VoIP전문가들이 총 70개에 달하는 주제발표를 하는 `VoIP Central @ CeBIT 포럼'이 진행돼 관심을 모았다. 세빗기간동안 발행되는 공식 신문인 세빗뉴스도 VoIP에 관한 특별기사를 게재했다. 현재 VoIP 이용자수는 일본이 490만명으로 가장 많고, 미국이 100만명정도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독일(11만명)ㆍ프랑스(22만명)ㆍ영국(5만명) 등으로 유럽 주요 국가들은 부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BTㆍ도이치 텔레콤ㆍ프랑스텔레콤 등 기존 통신사업자 뿐 아니..

[IT Trend] 2006.03.14

Heap Overflow - free/malloc

Heap Overflow - free/malloc Subject TrueFinder님의 Heap Overflow - free/malloc... 강좌. Heap Overflow - feee/malloc, double Free Corruption by truefinder , 4, 2002 in Korea frog@hackerslab.com, seo@igrus.inha.ac.kr 가. 쓰기전에 =========================== 우선 글를 쓰기전에 항상 앞뒤로 물심양면 khdp 및 저를 도와주셨던 많은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 분들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지금까지 제가 이 일을 계속 해 나갈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입니다. 이 문서를 그 분들께 바칩니다. Thanks to amadoh4ck, ma..

[IT Trend]/Security 2006.03.10

삼성전자, 브라질서 와이브로 시범서비스 개시

삼성전자, 브라질서 와이브로 시범서비스 개시삼성전자는 브라질 최대 미디어그룹 아브릴(ABRIL)의 케이블TV 서비스 회사인 TVA와 와이브로 시범망 서비스 계약을 체결, 오는 5월부터 브라질 상파울로에서 와이브로 시범서비스를 시작으로 11월에는 와이브로 상용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국내에서의 세계 최초 와이브로 상용서비스에 이어 남미에서도 연내 와이브로 상용서비스를 실시할 전망으로 브라질에서의 와이브로 상용화 시작으로 중남미 지역 전체로의 파급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최근 토리노 동계올림픽 와이브로 시연 성공, 이탈리아 2007년 와이브로 상용서비스 발표, 일본 KDDI 와이브로 공개시연 성공, 동유럽 크로아티아에 와이브로 공급 등 와이브로 세계화에 잇단 큰 성과를 올리고 있는 삼성전자는 북미..

[IT Trend] 2006.03.08

[펌] IPTVㆍ와이브로 올 큰 시장 열린다

IPTVㆍ와이브로 올 큰 시장 열린다올해 통신시장에는 그 어느때보다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이 활발한 전망이다. 와이브로ㆍHSDPA(고속하향패킷접속방식) 등 신규서비스가 시작되고,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ㆍ인터넷전화 등도 서서히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KTㆍSK텔레콤 등 6개 유무선 통신업체들은 컨버전스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 약 6조5000억원을 넘어서는 사상 최대 규모의 설비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국내 최대의 통신업체 KT는 올한해 기존 및 신규사업에 민영화 이후 최대치인 3조원을 쏟아 붓는다. 이동통신시장의 선두업체 SK텔레콤 또한 지난해 보다 2000억원이나 늘어난 총 1조6000억원의 설비투자에 나선다. 이처럼 새로운 서비스 개시를 위한 통신서비스 시장의 활발한 투자에 힘입..

[IT Trend] 2006.02.09

[펌] “와이브로 단독서비스로는 성공 어렵다”

“와이브로 단독서비스로는 성공 어렵다”]생존위해 W-CDMA 등 결합 서비스 불가피...콘텐츠·단말기 확보 시급김태진기자 jiny@ddaily.co.kr 2006년 01월 22일 오는 3월 시범서비스를 앞둔 휴대인터넷 와이브로(Wibro)가 단독 서비스로는 시장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W-CDMA(HSDPA)나 방송 등과의 결합서비스 제공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와이브로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서비스 초기시장의 불확실성 ▲콘텐츠 부족으로 인한 활성화 저해 가능성 등을 제거하고, W-CDMA(HSDPA)를 비롯한 경쟁기술의 세계시장 선점 등에 대한 대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ET..

[IT Trend] 2006.01.31